티스토리 뷰
목차
정말 무섭습니다.
전대미문의 독감이 대한민국을 덮쳐서 일반환자 뿐만아니라 의사환자까지도 역대 최대치를 찍었다고 합니다. 큰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래서 그 어느 때보다도 독감 접종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제 회사 동료들도 독감에 걸려서 죽다 살아난 사람이 한두명이 아니라서 저도 문제의 심각성을 너무나 실감하고 있는데요. 이 분들 모두 독감 접종을 하지 않아서 너무 후회를 하시더라구요. 마스크도 잘쓰고 손도 잘씻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독감 예방 접종을 하는 것이 독감에 걸리지 않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것은 누구도 부정하지 못할 것 입니다.
이번 2024년~2025년 절기는 WHO 권장주를 모두 포함한 4가 백신을 사용하고 최근 유행중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과 유사한 백신을 접종한다고 하니 더욱 다행인 것 같습니다.
그럼 무료로 독감 예방 접종을 받을 수 있는 정보를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정부에서는 어린이, 노인, 임신부를 대상으로 무료로 독감 예방 접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서울시에서는 고위험군이 이용하는 자치구 구립 밀접 접촉시설 종사자에게도 예방접종 지원을 확대한다고 합니다.
어린이 독감 예방 접종
생후 6개월~13세 어린이는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무료로 접종이 가능합니다.
지원 대상 : 생후 6개월 ~ 13세 어린이(2011.1.1~2024.8.31 출생아)
지원 기간 : 2회 접종 대상 : 2024.9.20~2025.4.30, 1회 접종 대상 : 2024.10.2~202.4.30
접종기관 : 전국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
생후 6개월~9세 미만 어린이 중에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처음하거나 이전 접종력을 모르는 경우, 2024년 6월 30일 전까지 인플루엔자 백신을 총 1회만 접종한 경우는 2회 접종을 지원합니다. 하지만 미리 예방접종 일정과 접정횟수는 의사 선성생님과 반드시 상담하시고 지정의료기관과 보건소에 방문 전에 미리 알아보고 가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어린이 독감 예방 접종을 위한 지정의료기관은 아래의 링크에서 조회가능 합니다.
임신부 독감 예방 접종
임신부도 주수와 무관하게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무료로 독감 예방 접종이 가능합니다.
지원대상 : 임신이 확인된 인신부로 산모수첩, 임신확인서 등의 서류 제시(임신 주수 무관)
지원기간 : 2024.10.2~2025.4.30
접종기관 : 지정의료기관 및 전국 보건소
임신부는 이전 절기 접종력과 상관없이 매년 불활성화백신(0.5ml) 1회 접종하게 됩니다.
임신부 독감 예방 접종을 위한 지정의료기관은 아래의 링크에서 조회가능 합니다.
노인 독감 예방 접종
65세 이상 어르신도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무료로 독감 예방접종 가능합니다.
지원대상 : 65세 이상(1959년.12.31. 이전 출생자)
지원기간 : 1구간 - 75세 이상 2024.10.11~2025.4.30, 2구간 - 70세~74세 2024.10.15~2025.4.30,
3구간 - 65세~69세 2024.10.18~2025.4.30
2구간부터는 70세이상이면 접종가능하고 3구간부터는 65세이상이면 접종가능합니다.
접종기관 : 지정의료기관 및 전국 보건소
65세 이상 어르신은 이전 절기 접종력과 상관없이 매년 불활성화 백신(0.5ml) 1회 접종합니다.
노인 독감 예방 접종을 위한 지정의료기관은 아래의 링크에서 조회가능 합니다.
독감 예방접종 관련 문의사항은 질병관리청 콜센터 1399, 예방접종관리과 043-719~8398~9) 전국 보건소로 전화하시면 됩니다.
혹은 질병관리청 홈페이지로 접속하셔서 문의하실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어린이, 임신부, 어르신의 독감 예방 접종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아직 독감 예방 접종을 맞지 않으신 분들은 하루 빨리 예방접종 맞으시고 독감없는 겨울 보내시기 바랍니다~
인플루엔자 등 호흡기감염병 예방 수칙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받기
- 해당 대상자는 접종 시기에 맞춰 접종하기
○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식사 전·후, 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 후, 용변 후 등
○ 기침 예절 실천하기
①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② 기침 후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실천
③ 호흡기 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 착용
④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실내에서는 자주 환기하기
○ 발열 및 호흡기증상이 있을 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료 받기